아이키도(合氣道) 일본어 용어정리


출처 : 2006. 11. 30. 성주환 지도원이 다음 카페에 올린 글.

<호칭>

◎ 도슈 (Doshu, 도주) :

   소케(Soke, 종가)와 같은 의미의 아이키도 계의 독특한 호칭, 창시자 故 우에시바 모리헤이, 2대 도주 故 우에시바 기쇼마루, 현 도주 3대 우에시바 모리테루로 이어지고 있음. 현 도주는 창시자의 손자.

◎ 시한 (Shihan, 사범) :

   6단 이상의 전문지도자를 지칭함. 한국의 사범이란 호칭이 일반적으로 도장에서 지도하는 유단자이기만 하면 사용되는 것과 달리, 시한의 칭호는 그가 하나의 유파를 이루거나 자신의 선생에게서 독립할 수 있는 정도라는 큰 의미를 지님.

◎ 후쿠시도인 (Fuku-Shidoin, 부지도원) :

   2-3단의 전문지도자, 그냥 2-5단까지를 지도원으로 뭉뚱그려 칭하는 것이 일반적. (※. 1단의 전문지도자는 조교라고도 칭함.)

◎ 칸쵸 (Kancho, 관장) : 관(館)의 장.

◎ 도죠초 (Dojocho, 도장장) :

   도장(道場)의 장. 한국에서 쓰이는 관장에 준하는 용어.

※. 엄밀히 말하자면, 도장장은 단지 도장의 소유자라는 뜻이므로, 급단에 관계없이 도장 소유자는 사용가능. 다만, 부지도원, 사범은 전문지도자만 사용가능함.

◎ 센세 (Sensei, 선생) :

   위 모든 호칭들을 모르더라도 평소에는 그냥 이 한 마디로 오케이.


<인사>

◎ 오네가이시마스 (O'Negaishimasu, 부탁드립니다.) :

   수련시간 및 각 수련기 시작시 하는 말. 

◎ 아리가또 고자이마스 (Arigatto Gozaimasu, 감사합니다.) :

   수련시간 및 각 수련기 종료시 하는 말.

◎ 시쯔레이시마스 (Shizureishimasu, 실례합니다.) : 양해를 구할 때.

※. 위 세마디가 평소에도 자동으로 나올 정도로 수련하면 팍팍한 인생이 그나마 좀 수월해짐.


<기본용어>

◎ 우케 (Uke) : 받기, 기술을 받아주는 사람(공격하는 사람)

◎ 토리 (Tori) : 잡기, 기술을 거는 사람.

◎ 나게 (Nage) : 던지기, 기술을 거는 사람이라는 뜻에서는 토리와 혼용됨.

◎ 한미 (Hanmi) : 반신(半身)

◎ 갸쿠한미 (Gyaku-Hanmi) : 엇서반신(서로 다른 발을 앞에 놓고 섬)

◎ 아이한미 (Ai-Hanmi) : 맞서반신(서로 같은 발을 앞에 놓고 섬)

◎ 마아이 (Maai) : 간합(間合), 상대와의 거리.

   아이키도(合氣道)에서는 마주 서서 수도가 닿은 상태, 또는 그 거리.

◎ 오모테 (Omote) : 앞, 입신

   (앞으로 나가며 행하는 기술, 대부분의 기술을 입신, 전환의 2가지로 이루어진다.)

◎ 우라 (Ura) : 뒤, 전환(뒤로 돌며 행하는 기술)

◎ 이리미 (lrimi) : 입신(入身), 앞으로 나아가는 몸놀림.

◎ 텐칸 (Tenkan) : 전환(轉換), 앞발을 축으로 뒤로 180도 도는 몸놀림

◎ 카이텐 (Kaiten) : 회전(回轉), 뒷발이 앞으로 나가 축을 바꾸어 180도 도는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몸놀림.

◎ 타치와자 (Tachi-Waza) : 입기, 선기술.



◎ 스와리와자 (Suwari-Waza) : 좌기, 앉은 기술. 자기(Zagi)로도 불림.

◎ 한미한다치 (Hanmi-Handachi-Waza) : 반신반립기(半身半立技), 토리가 앉고     우케가 서서 행하는 기술. 대동류에서는 한자한다치(Hanza-Handachi)라고 함.

◎ 고큐호 (Gokyuho) : 호흡법, 몸 전체의 힘을 신체의 말단으로 전달하고,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상대의 중심을 뺏는 법을 익히기 위한 훈련.

◎ 식코 (Shikko) : 무릎걸음.

◎ 켄 (Ken) : 검(劍)

◎ 조 (Jo) : 장

◎ 탄토 (Tanto) : 단도

◎ 아테미 (Atemi) : 당신기(當身技), 타격기, 급소치기, 페인트 블로우, 잽.

   - 보통은 기술을 거는 동시에 또는 거는 도중에 상대의 주의를 흩뜨리기 위해 사용하는 타격기(페인트 블로우), 보통 등주먹, 수도, 무릎치기 등을 사용하나 그 외에 상황에 맞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도 무방함.

   - 수련 중에는 상대의 허점을 발견하거나 주의를 주어야 할 경우 지적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보통, 살짝 갖다대어 주거나 몇 번 반복해도 개선의 여지가 없을 경우.....진짜 쳐버릴 것.


<관절기부>

◎ 익교 (lkkyo) : 1교

◎ 니쿄 (Nikyo) : 2교

◎ 산쿄 (Sankyo) : 3교

◎ 욘쿄 (Yonkyo) : 4교

◎ 고쿄 (Gokyo) : 5교


<던지기부>

◎ 이리미나게 (lrimi-Nage) : 입신던지기

◎ 텐치나게 (Tenchi-Nage) : 천지던지기

◎ 코시나게 (Koshi-Nage) : 허리던지기

◎ 고큐나게 (Kokyu-Nage) : 호흡던지기, 몸놀림으로 상대를 던지는 기술.

◎ 카이텐나게 (Kaiten-Nage) : 회전던지기, 내회전(Uchi-Kaiten)과 외회전

   (Soto-Kaiten)으로 나뉨. 카이텐오사에(Kaiten-Osae:회전누르기)로 응용.


<꺾어던지기부>

◎ 고테가에시 (Kote-Gaeshi) : 손목뒤집기

◎ 시호나게 (Shiho-Nage) : 사방던지기

◎ 쥬지나게 (Jyuji-Nage) : 십자던지기, ‘쥬지가라미’라고도 불림.


<공격-잡기>

◎ 카타테도리 (Katate-Dori) : 한손잡기, 아이키도에서는 엇서 한손잡기가 기본.

◎ 료테도리 (Ryite-Dori) : 양손잡기

◎ 모로테도리 (Morote-Dori) : 한손양손잡기

   (나게의 한손목을 우케가 두손으로 모아잡음)

◎ 무네도리 (Mune-Dori) : 가슴잡기

◎ 카타도리 (Kata-Dori) : 어깨잡기

◎ 료카타도리 (Ryu-Kata-Dori) : 양어깨잡기

◎ 료히지도리 (Ryu-Hiji-Dori) : 양팔꿈치잡기

◎ 우시로 료테도리 (Ushiro-Ryote-Dori) : 뒤양손잡기

◎ 우시로 카타테도리 쿠비시메 (Ushiro-KatateDori-KubiShime) :

   뒤에서 한손잡고 목조르기

<공격-치기>

◎ 쇼멘우치 (Shomen-Uchi) : 정면타

◎ 요코멘우치 (Yokomen-Uchi) : 횡면타

◎ 츠키 (Chuki) : 지르기


<공격-잡고치기>

◎ 카타도리 쇼멘우치 (KataDori-ShomenUchi) : 어깨잡고 정면치기

◎ 카타도리 요코멘우치 ( KataDori-YokomenUchi) : 어깨잡고 횡면치기

◎ 카타도리 츠키 (KataDori-Chuki) : 어깨잡고 지르기


<기타>

◎ 니닌토리 (Ninin-Tori) : 2인잡기, 1대2 처리

◎ 신닌토리 (Sannin-Tori) : 3인잡기, 1대3 처리

◎ 다닌토리 (Danin-Tori) : 다수잡기, 2인 이상 처리. 

[출처] 일본어 용어정리 |작성자 월면


Posted by 다드래기
,